최근 블랙박스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에서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들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급발진 이슈는 이대로 계속가다가는 사회적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할 것 같아 국가기관에서 적극적으로 규명하고 대처해야된다고 글을 쓴적이 있는데요.
그때 EDR 장착 의무화에 대한 이야기도 했었습니다.
EDR의 이력결과는 급발진을 규명(브레이크 밟았는지 여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때문인데요.
금년초인가요? 임산부가 탄 기아 스포티지R의 급발진 추정사고의 차주분이 국가기관도 규명을 하면서 겪은 이야기가 인터넷과 SNS에서 보게되어 저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급발진 규명 여부를 떠나 아래 사실이 진짜라면 참 우리나라의 국가기관의 일처리는 전혀 신뢰를 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드는 건입니다.
일단 급발진 추정 동영상을 참고하시구요.
스포티지R 차주의 글은 아래 원문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이 길기 때문에 제가 요약해서 설명드리면
당시 스포티지R 급발진 추정사고때문에 많은 이슈가 되어 교통안전공단에서 합동조사반이 EDR을 포함한 조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차주분께서 EDR 데이터를 받았는데 아래와 같이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Brake on/off 항목에 Actual Val이 01인고 Value가 Off이지요?
결국 Brake가 off 상태였다는 것, 즉 Brake를 밟지 않았다는 것인데요.
의문스러운 것은 아래 자료와 비교하면 나옵니다.
스포티지R 차주가 받은 EDR 데이터에서 Brake 다음페이지에 있는 ABS activity나 Stability control status 을 보면 Brake 항목과 좀 다른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Actual Val이 00 인데 Value가 Off, 01이면 On으로 되어 있습니다.
brake는 01이 OFF인데 왜 ABS Stability control status는 00이 왜 Off 일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스포티지R 차주가 교통안전공단에 해명을 요구했고, 비교를 위해 동종차량으로 테스트한 스포티지R의 EDR 데이터를 달라고 했다는 군요.
그런데 그 동종차량의 EDR 데이터는 아래 사진처럼 Actual Val의 상태값을 아예 지워서 보내줬다는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미국 자동차 공학회의 EDR 표기법입니다.
Brake는 0이 Off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Brake만 ABS/Stability 시스템과 표기법이 다르다는 것 자체가 이상하고, 자동차 공학회에서도 이렇게 표기되어있다면 결국 결론은 교통안전공단에서 조작을 했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할 수 있는데요.
만약 국가기관이 정말로 데이터를 조작했다면…. 사기업이 아닌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국가기관이 소비자를 속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급발진 이슈는 진행되고 있는 국정감사에서도 핵심사항이라고 하는데요.
합동조사반에 대한 소위원회가 결성되어 그 조사에 대한 감사를 한다고 합니다.
저도 이글을 쓰면서 스포티지R의 차주가 쓴 글을 보고 쟁점을 요약한 것인데요. 어떤 것이 실제 FACT인지는 교통안전공단의 해명이나 국정감사 결과를 두고봐야 할 것같습니다. 저도 한쪽 이야기만 들은 것이니까요.
그러나 차주가 제시한 위의 사진 자료를 보면 인과관계상 자료 자체의 표기가 조작되었다는 예상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이 이슈화 되어 국가기관이 정확하게 해명을 해서 잘못된 점이 있다면 인정하고, 또한 뭔가 잘못 커뮤니케이션 된 부분이 있다면 오명을 벗었으면 합니다.
최근 정치권에서 경제민주화라는 단어가 자주 나오는데요. 경제민주화라는 것은 헌법상 자유시장경제 체제에서 국가가 필요시 규제와 조정역할을 하는 것인데 상기 일을 보면 제대로 경제민주화를 할 수 있는 기본조차 안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또한 급발진 문제는 사회적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국가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규명/대처할 수 있도록 모든 주목하고 지켜보았으면 합니다.
ps) 계속 이 이슈에 대한 피드백 이야기가 나오고 있네요.
2번째 : http://bbs2.agora.media.daum.net/gaia/do/kin/read?bbsId=K157&articleId=119844&pageIndex=1
3번째 : http://bbs2.agora.media.daum.net/gaia/do/kin/read?articleId=120079&bbsId=K157&pageInde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