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 다들 이제는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 연동을 해서 잘 쓰고 계신가요?
불과 몇년전부터 나오는 신차들은 이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을 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습니다.
이런 블루투스 연동이 기본이 되는 것은 스마트폰의 사용패턴이나 컨텐츠 소스로써의 스마트폰이 상당히 일반화 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스마트폰의 오픈플랫폼에 의해 엄청난 컨텐츠와 사용확대를 이루었지만 그에 반해 차량의 인포테인먼트는 더딘 발전을 보인 것이 사실입니다.
제품의 교체주기가 길고, 혁신성보다는 안전성이 더 중요한 자동차 업계의 특성때문 이기도 한데요.
앞으로는 이 부분도 오픈플랫폼이나 미러링크(Mirror link)와 같은 흐름에 의해 변화의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됩니다.
오픈플랫폼으로의 전환
자동차는 지금까지 한마디로 이야기했던 자동차 안에서만 생각하는 경향이 좀 더 강했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지금까지 소비자를 위해 구현되었던 인포테인먼트를 생각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면서 이곳에서 차량에 대한 정보와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음성인식,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통한 편한 길찾기와 안내를 제공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최근에 이루어진것은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제공한 정보가 계기판이나 HUD로 연동하여 보여주는 수준과 모바일과 연계하여 스마트폰 앱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기능정도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오픈플랫폼을 도입하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를 많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폰의 연동을 통해 스마트폰의 소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스마트폰과 같은 개방된 앱과 같은 것들이 차량을 위해 존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OS에 의한 생태계도 구축되고 좀 더 연속적인 사용을 할 수 있는 그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죠.
중소형 차를 위한 미러링크(Mirror Link) 규약과 그 흐름
미러링크(Mirror link)라고 들어보셨을 수도 있는데요.
미러링크는 규약의 이름입니다.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미러링해서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로 전송하여 보여주는 것인데요.
이미 애프터마켓에서는 이런 규약을 이용한 장비가 나와있기도 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스마트폰 영상을 차량의 디스플레이로 맞게끔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장치들이 나와있더군요. 물론 이때는 스마트폰에는 미러링크를 실행하는 특정앱을 실행시키고 있어야 합니다.
이 미러링크 장치는 네비게이션 UI가 취약한 수입브랜드들 차에 맞게 활성화되어있는 상태입니다.
미러링크의 흐름을 일부 보여주는 것은 최근 한국GM에서 탑재하기 시작한 쉐보레 마이링크입니다.
스마트폰을 연동하고 나면 스마트폰의 소스를 활용해서 네비게이션, 음악, 스마트폰 음성인식 서비스를 차량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치이죠.
2012년에 출시했을때는 아직 지원하는 네비게이션앱이 없고 없어 불완전한 모습이었는데요.
이번에 나올 쉐보레 트랙스에서는 스마트폰에 특정 네비게이션앱을 다운받아 이를 마이링크 디스플레이에서 구동하여 활용할 수가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차량제조사의 옵션에 있는 네비게이션 패키지가 비싸다고 느끼는 소비자, 그리고 차량의 CD 플레이어를 잘 활용하지 않고 스마트폰이 대세가 된 트렌드를 정확하게 반영한 결과가 바로 미러링크입니다
결국 스마트폰의 오픈플랫폼의 컨텐츠나 소스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차량의 디스플레이 LCD는 터미날의 의미로만 활용되는 것입니다.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오픈플랫폼화 되고 있는 흐름의 하나라고 볼 수 있지요.
미러링크는 원래 휴대폰 제조사인 노키아가 이 규약을 주도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지금은 컨소시움 형태로 디바이스 제조사부터 차량 전장부품 제조사, 자동차 제조사들이 다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도 들어가 있으니 이런 개념은 국내에서 중소형이하 차종들에게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체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고급차로..
자 미러링크 개념은 네비게이션 옵션이나 값비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비용을 더 들이지 않기를 바라는 소비자들에게는 적합하죠. 그래서 중소형차 이하 차종들에게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렇게 미러링크를 수행하고 있을때는 당연히 스마트폰에서 멀티태스킹을 처리하는데는 분명 어느정도의 한계와 불편함이 있을텐데요.
그래서 준대형차종 이상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미러링크기능에 추가적으로 스마트폰의 OS처럼 차량용 앱스토어 같은 생태계를 구축하는 개념으로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제 S/W개발자들도 스마트폰을 위한 앱 개발뿐만 아니라, 차량을 위한 앱도 만드는 시기가 오는것이죠.
이렇게 개발자에게 오픈된 생태계 구조는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S/W가 나오고 이런 것들이 차량내 기능과 융합되어 더 나은 가치를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포드에서도 차량내 API를 개방한다는 외신을 접할 수 있었는데요.
결국 자동차도 추후에 스마트폰처럼 오픈 플랫폼에 의해 융합된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과 자동차가 서로 밀월관계로 발전해야..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오픈플랫폼화 된다면 아마도 스마트폰과 자동차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닌 상호 사용경험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되지않을까 합니다.
자동차보다는 스마트폰 사용경험에 더 익숙한 사용자들에게는 당연히 환영할만 한 일이구요.
미러링크로 통일되어 스마트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도 한계는 존재할 것이고, 차량만의 오픈생태계 구축또한 아직도 표준화가 진행과정이며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요한 것은 운전자는 대부분 차량안에 있는 시간보다 차량밖에 있는 시간이 많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차량 인포테인먼트가 잘 구축되어 있더라도 그것이 개인의 스마트폰과 연속선상에서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그 사용경험은 차량안에서건 차량 밖에서건 이어져야 합니다.
이런 개념에서는 통신사업자또한 역할이 있을 것인데요. 현대차의 블루링크가 별도의 통신모듈을 탑재한 방식이었다면 향후에는 아무래도 개인 스마트폰의 네트웍을 차량의 인포테인먼트가 Share해서 사용하는 방식이 더 흐름에 맞지 않나 합니다
결국 사용자가 통신망을 적절한 비용으로 여러 주체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인데요. 이런 점은 IT제조사와 차량제조사들이 같이 협력하여 잘 구축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