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엑스타 LE스포츠의 고속주행 퍼포먼스는?

타이어를 고른다는 것은 다른 물건을 살때와는 달리 쉽지는 않습니다. 

타이어는 실제 비교를 할때 자동차 한대에 여러 타이어를 장착해보고 비교한 후 살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또한 비교해본다고 해도 동등조건에서 비교하기가 아주 어렵기도 한 특성이 있지요.

특히나 퍼포먼스를 위주로 한 스포츠타이어는 더더욱 그러한 것 같습니다.

금호타이어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엑스타 LE스포츠를 장착 후 고속주행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해봅니다. 타이어를 고르시는 분들에게 참고할만 한 정보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관련포스팅

금호타이어 엑스타 LE스포츠의 장착 후 1달 소감은?

금호타이어 엑스타LE 스포츠 교체 및 휠얼라이먼트

금호타이어 엑스타 LE스포츠의 고속주행시 그립과 지지력

일전에도 거론했었지만 예전에 장착했던 H사의 V모델 타이어보다 고속주행의 지지력에서는 상승한 것이 느껴집니다.

좀 더 단단하고 사이드윌이 강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죠.

반대로 살짝 통통튀는 성향이 강해지기 때문에 노면이 불규칙할때는 그립이 애매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범프를 만나게 되면 제 SLK가 그립때문에 ESP 시그날이 살짝 들어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예전에 앞 타이어에 좀 부드러운 타이어를 장착했을때는 경험할 수 없는 것이었죠.

그러나 특히나 차선변경시나 순발력있게 치고 나갈때의 타이어 지지력이 좋은 것이 엑스타 LE스포츠의 장점으로 보이구요.

UHP 스포츠성 타이어는 역시 고속주행에 최적화 시킨 타이어이니만큼 정상적인 노면에서의 안정감이나 그립력이 중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고속주행에서는 계속 고속으로 안정적인 지지력과 그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역시 열방출이 제대로 되는가가? 중요한 속성이기도 한데요.

금호엑스타 LE스포츠는 방열 딤플이란 것을 통해서 열방출을 돕고 있는데요.

아래 사진이 사각형 3개로 되어 있는 딤플이 고속주행으로 올라가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솔루션이라고 합니다.

열을 최대한 배출을 하면 그만큼 고속주행에서 그립력이 감소하는 것을 막고 고속주행의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죠.

엑스타 LE 스포츠는 좌우 비대칭타이어입니다. 그리고 패턴하나하나가 여러가지의 주행 테스트를 통해 의도된 설계죠. 

안쪽이 정숙성과 승차감을 위한 패턴이고 바깥쪽이 핸들링을 위한 설계라고 합니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엑스타 LE스포츠 타이어가 가지는 가격대에서는 이 고속주행성에 있어서는 충분한 점수를 받고 있고 저도 가성비에서 좋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금호타이어 엑스타 LE스포츠의 고속주행시 정숙성은?

엄밀히 따져서 스포츠타이어에 정숙성이 우선순위의 속성은 아닙니다만, 데일리카로 스포츠카를 운행하는 분들도 많은지라 우리나라에서는 필요한 속성이 아닌가 합니다.

금호 엑스타 LE스포츠의 경우는 이전 H사의 V타이어보다 100~150km/h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정숙성이 양호한 편입니다. 

다만 타이어는 마모의 정도에 따라서 소음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호 엑스타 LE스포츠 또한 마모가 더 된 상황에서 정숙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 하겠지요. 

금호타이어 엑스타LE 스포츠의 배수성능은?

이전에 장착했던 H사의 V모델 타이어 대비 가장 증강된 것을 느끼는 영역이 바로 배수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포츠타이어의 경우 거의 마른노면에서 주행성능만 보고 타는 썸머 타이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런 타이어에 눈이 내리는 날은 어쩔 수 없지만, 비가 내리는 날은 스포츠타이어가 제대로 커버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는데요.

금호 엑스타LE스포츠는 배수성에서 꽤 안정적인 것이 느껴집니다.

저는 앞으로 이렇게 굵게 뻗은 3채널의 와이드 그루브와 같은 패턴 설계를 배수성에서 있어서 판단할 수 있는 패턴으로 확신하게 되었는데요.  폭우가 내리는 날 국도에서 안전한 환경에서 여러차례 브레이크 테스트를 하면서 더욱 더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엑스타 LE스포츠의 타이어 성능표에서도 빗길제동력이 다른 성능보다 더 높은 10점이 매겨져 있습니다.

엑스타 LE스포츠의 고속주행에 대해서 이야기해봤는데요.

사이드윌이 단단해서 고속주행에서 지지력이 좋고, 좋은 고속노면에서의 그립이 양호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살짝 통통튀는 승차감과 범프에서는 튀는 느낌을 가지고 있죠.

이전의 타이어보다 주행 시 좋아진 배수능력이 가장 체감이 많이 되는 것 같은데요. 여러모로 가격성능비 대비 만족을 주고 있는 타이어라고 생각이 되네요.

※ 본 포스팅은 금호타이어로부터 장착을 위해 타이어 및 저작권료를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