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 경유차를 살려면 경유가격대가 얼마일때 사야하는가?

앞서 SUV 경유나 휘발유냐 이것이 문제로다(http://www.100mirror.com/180)라는 포스팅을 통해 현 경유가격으로는 SUV 구매시 휘발유 모델이 훨씬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현대자동차가 가솔린모델보다 경유모델 가격을 너무 많이 받아서(약 4백만원차이) 경유모델의 좋은 연비로도 4백만원 정도되는 차값의 차이를 메꾸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럼 경유가격대가 얼마가 되어야만 경제적으로 디젤모델을 탈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여전히 투싼모델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아래 표는 경유가 어떤 특정 가격대일때 1년/2년/3년/5년 보유기간시 경유모델의 경제성입니다.
아래 표에서 노란색은 휘발류모델 대비 더 들어가는 구역이고 파란색은 경유모델이 절약되기 시작하는 구역입니다.

결국 차를 사서 평균적으로 5년이상을 보유한다고 했을때 3년째 부터 절약이되는 900원이 마지노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600원이라면 2년지나면 바로 이익)

경유값이 900원이 된다면 현재의 휘발류값(1365원)대비 68%에 해당하는 비중이며, 예전에 정부가 가지고 있던 에네지 가격정책(휘발류 100 : 경유 80)과는 괴리가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차량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투싼의 경우 최소한 1000원 미만으로 떨어질때 경유모델을 사는 것이 적절하다고 봅니다
또한 문제는 자동차메이커가 경유모델을 공식적으로는 원가가 더 들어간다고 가격을 높게 책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경유값이 아주 쌌던 시절에 나온 전략적인 가격셋팅이 아닐까 합니다. 현 경유값의 현실에 따라 경유모델가 조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런 비교를 하다보니..  정부 에너지 정책 및 수급조절이 산업간의 미치는 영향이 너무나 큰 것 같습니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자동차메이커들이 소비자를 좀 더 생각해서 합리적인 가격 결정을 하였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포스팅을 보고 여러분도 현명한 판단을 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